Surprise Me!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투자용 부동산 시장도 '급랭'…시장 경색 가중?

2023-02-15 0 Dailymotion

[김대호의 경제읽기] 투자용 부동산 시장도 '급랭'…시장 경색 가중?<br /><br /><br />오피스텔을 비롯해 도시형 생활주택 등 투자용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신규 사업은 물론이고 분양권 시장에는 마이너스 프리미엄, 일명 '마피' 물건이 쏟아지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부동산 시장 경색이 가중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관련 내용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?<br /><br /> 고금리와 주택시장 침체 여파로 오피스텔과 생활형 숙박시설 등 투자용 부동산 시장에도 '혹한기'가 찾아왔습니다. 분양권 시장에 마이너스 프리미엄 매물이 쏟아지고 있다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분양이 연기되거나 사업을 포기하는 등 부작용이 우려되며 수익형 상품의 '미입주 폭탄'이 부동산 시장 경색을 가중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습니다. 부동산 PF가 살얼음판을 겪고 있는 상황에서 미입주 대란이 현실화 된다면 시장 전체에 어떤 부담이 될까요?<br /><br /> 최근 은행의 높은 성과급과 거액의 퇴직금이 지적된 것과 관련해 금융감독원이 5대 시중은행의 과점 체제를 깨고 완전 경쟁을 유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습니다. 예금과 대출 시장에서 5대 은행의 시장 점유율은 어느정도 인가요?<br /><br /> 현재 금융당국은 대형 은행 중심의 과점 체제를 깨려 했던 영국을 눈여겨보고 있습니다. 영국은 브렉시트 등으로 산업간 경쟁 촉진이 필요해 은행 신설을 유도했었는데 실효성은 어땠나요?<br /><br /> 지난 밤사이 미국의 1월 소비자물가지수 CPI가 발표됐습니다. 6.4%로 시장의 예상치를 웃돌았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? 인플레이션의 장기화를 우려해야하는 상황인가요?<br /><br /> 이달 초 연준이 기준금리를 0.25%p 인상하며 시장에서는 하반기에 금리 인하가 시작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퍼졌는데요. 이번 CPI 발표 이후 연준이 기준금리를 더 올릴 수 있다는 관측이 커지고 있습니다. 금리를 낮출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졌다고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정부가 최근 "모든 정책 기조를 경기 대응으로 전환해야 한다"고 밝히며 2월 금통위를 앞둔 한은이 '금리 동결'을 고려할거라는 전망도 있었는데요. 이번에 발표된 미국 소비자물가지수가 어떤 변수가 될까요?<br /><br />#부동산시장 #오피스텔 #분양권시장 #주택시장 #부동산PF #마이너스프리미엄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

Buy Now on CodeCanyon